통합 검색

통합 검색

DB 구축 및 정비
Home  ›  사업소개  ›  DB 구축 및 정비
용도지역지구도 등 연속주제도 정비

대부분의 지자체가 연속지적도 정비와 지적재조사 사업을 추진하면서 부동산종합공부시스(KRAS)에 등재된 연속지적도가 지속적으로 변경되고 있습니다.

이로 인해 연속지적도에 맞게 작성되어 있는 용도지역지구도 등 연속주제도가 연속지적도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,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토지이용계획확인원 등 민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속주제도 정비가 필요합니다.

 『토지이용규제 기본법』에 의하면 모든 용도지역·지구 등 연속주제도는 지형도면 고시 후 그 즉시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(KRAS)에 탑재하여 토지이용계획확인원 발급을 의무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

[기대효과]

   - 정확한 자료의 국토이용정보 통합플랫폼(KLIP) 등재

   - 토지이용규제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국민에게 제공

연속지적도 정비

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(KRAS) 내 지적(임야)도 전산 파일을 분석하여, 개별 필지의 겹침, 벌어짐, 면적 공차 등(도곽간, 축척간 등을 포함)의 자체 오류와 지적현황측량성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지적도를 정비하고, 이를 바탕으로 연속지적도를 정비하여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(KRAS)에 등재할 수 있는 전산 파일 작성합니다.

이를 위해 CIF_개별지적, KRAS_연속지적, 정사영상, 소유권정보, 도서자료 등을 수집하여 정제 후 검토하고, 개별지적도와 연속지적도 간 관계 및 오류 파악 실시합니다.

검토한 오류 내용을 기반으로 도형과 속성의 편집작업 후 대조용 도면제작과 담당자 협의 과정을 거쳐 최종 정비 도면 확정 및 업데이트 자료 구축하게 됩니다.

[기대효과]

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(KRAS) 내 개별지적도와 연속지적도 데이터 간의 불일치 사항을 개별지적정비를 통하여 연속지적도를 작성하고, 연속지적도의 체계적인 오류 유형 분석 및 정비를 통해 기본도의 활용 기반을 조성하여 행정업무능률 향상과 신뢰성 있는 민원서비스 제공

토지대장 한글화 DB 구축

[한글화 목적]

   - 선진 디지털 지적행정 구현 및 영구 보존․관리 체계 구축

   - 한자에 익숙하지 않은 민원인들의 민원 발급 대장 식별 및 판독에 대한 민원 해결

   - 이전 변동내역을 전산화하여 지적행정 업무의 혁신과 생산성 제고
   - 지적행정 및 측량업무 자료조사 활용으로 증가되는 토지재산권 분쟁 해소 및 민원예방

[기대효과]

   - 한글화된 구토지대장의 완벽한 전산화로 고품질 지적민원서비스제공 가능

   - 신속․정확한 자료 검색 및 민원 처리로 업무의 효율성․생산성 향상과 지적 행정의 신뢰성 제고

   - 자연 재해, 화재, 도난 등 각종 재난․재해 시 지적공부 복구자료 사전 확보

   - 지적 문서의 영구 보존 ․ 관리 체계 확립

   - 기 구축된 구토지(임야)대장, 폐쇄 지적(임야)도를 결합

   - 법정 양식으로 통합민원발급기에서 발급할 수 있는 체계 마련